Notice
Recent Pos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플러스하우스

우주꿈 해몽 풀이 및 우주 이야기 본문

카테고리 없음

우주꿈 해몽 풀이 및 우주 이야기

유 자 2017. 7. 7. 01:00

우주꿈


UFO나 우주선, 우주꿈은 도전정신. 호기심. 상상력, 창의력, 잠재된 용기. 미래에 대한 불안감, 이성관계는 지나친 관심으로 헤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솔로라면 넘보지 못할 상대에게 고백을 하다 거절당하여 상처를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의외로 가까운 곳에서 좋은 사람을 만날 수 있다. 생각지도 못한 좋은 기회가 오게 되지만 실패가 되면 큰 손실을 각오해야 하는 상황도 온다. 쉽지 않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고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 생긴다.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이나 재능을 발견하게 되거나 좋은 아이디어로 지금의 상황이 더 발전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잘 되지 않는 현실도피하고 싶은 생각. 어떤 책임을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담긴 꿈이다. 현실의 어려운 문제(학업, 직장. 사업 등)에서 도망을(포기)를 하려는 마음으로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 문제(어려움)을 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돌파하는 지혜와 용기가 필요합니다. 무언가 탐구심이 많고 남들이 가는 길을 가지 않는 외길에 가는 것을 좋아하며, 진취적이고 발전이 되는 양상이 있고 이런 호기심과 어떤 일에 대해서 진취적인 성향이 있어 무언가 독립하기를 좋아하고 이런 양상이 계속되다 보면 무언가 남들에 비해서 성공을 할 수 있는 큰 것이 있어 이를 잘 활용하여 나아가면 큰 인물로 성장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우주꿈 중에 우주에 간다는 것은 신비한 체험을 하는 것을 표현하고 남편이 운전하는 우주선을 가족과 함께 타고 갔다. 겁도 나고 평상시 우주라는 공간을 좋아하지 않았다. 길을 잃으면 안 되니까 빨리 돌아가자고 해서 다시 지구로 돌아왔다. 남편과 함께 사업을 하는 것과 연과 하여 평소에 해보던 익숙한 일이 아니라 신비하기도 하지만 겁도 나고 심리적으로 위축감을 느낀 것을 표현하는 심리 몽인 우주꿈입니다. 


행성 (내행성), 수성, 철과 니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력이 작아 대기가 거의 없습니다. 대기와 물이 없어 운석 구덩이가 많습니다. 태양과 가장 가까워 일교차가 매우 큽니다. 금성,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 온실 효과가 발생하여 표면 온도가 매우 높습니다. 화산 활동이 활발합니다. 금성, 표면이 우주 초기의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자전주기가 243일로 공전주기보다 깁니다. 지구,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화성, 표면이 철 성분이 많은 금속 물질로 인해 붉은색을 띱니다. 표면에 얼음과 드라이아이스가 존재합니다. 극관이 존재하며, 계절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집니다. 목성, 태양계 행성 중 질량과 크기가 최대입니다. 크게 성장하여 강한 중력을 가지게 되었고, 때문에 태양 성운에 있는 기체 (H, He)를 붙잡게 되어 태양과 비슷해집니다. 표면에 대기의 소용돌이 현상인 대적점이 있습니다. 토성, 물과 얼음 상태로 되어있고 크기가 크고 얇은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H, He와 같은 기체가 많습니다. 얼음 상태의 입자들이 많다습니다. 천왕성, 밀도가 작아 입자들의 충돌이 적게 일어나서 행성으로 성장하는 속도가 느렸습니다. 자전축이 공전궤도면과 거의 나란합니다. 대기에 메테인 함량이 많아 청록색으로 보입니다. 해왕성, 파란색을 띱니다. H, He를 붙잡을 만큼 거대하게 성장하지 못했다: 대부분 얼음 상태의 입자+암석 성분 입자+적은 양의 H, He로 구성입니다. 대기의 소용돌이 현상인 대흑점이 있습니다. 화학 원소로서의 특성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도달할 수 있는 물질의 기본적인 최소 입자 (이거보다 더 작은 소립자는 현재 연구 중에 있기 때문에 원자를 기본으로 합니다. ) 양성자는 양전하를 띠고 있는 입자이며, 이 입자가 생성이 되면서 중성자도 생성이 됩니다. 중성자는 영국의 과학자인 채드윅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그전에 러더퍼드에 의해 그 존재가 언급되기도 했습니다. 러더퍼드는 여러 원자들을 가지고 그들의 원자핵 질량을 조사하였는데, 원자핵의 질량과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의 질량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양성자의 질량이 원자핵 질량의 약 반 정도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원자핵 안에는 양성자의 질량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며 전하를 띠지 않는 입자가 양성자와 같은 수만큼 존재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헬륨은 원자 핵과 원자핵이 융합이 되면서 중성자가 하나 빠지게 됩니다. 빠진 공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하나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핵융합입니다. 현재 태양의 주성분입니다. 핵융합이 일어나면서 각종 원소 성분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그것들이 응집이 되면서 크기도 커지고 큰 질량과 중력을 갖게 돼서 하나의 항성이 탄생하게 되는데 오랜 세월 원자핵의 융합으로 인해 원자핵 안의 중성자가 소멸이 되면 양성자만이 남게 되고 이 양성자는 서로 밀어 내게 되므로 초신성 폭발이 일게 됩니다. '초신성'은 어떤 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태양보다 '4배 이상' 큰 별들의 생애에서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폭발하면서 생을 마감하게 되는데, 이렇게 폭발하면서 밝게 빛나며 보여주게 되는 모습을 '초신성'이라고 합니다. 그 밝기는 하나의 '은하' 전체 밝기와 맞먹는다고 합니다. '초신성'은 일반적으로 며칠 정도만 보입니다. 별이 폭발하게 되면, 대부분 별의 껍질 부분이 흩어지고, 이 흩어진 성분들이 우주의 성운이나 먼지들과 응집이 됩니다. 그러면서 여러 가지 별들이 탄생됩니다. 별의 중심 부분은 중력의 영향으로 급속한 압축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해서 압축된 중심 부분은 그 압축 정도에 따라 '중성자 별'과 '블랙홀'이 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블랙홀'이 되려면 태양의 10배 이상(또는 30배 이상이라고도 함)의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해서 별들과 블랙홀이 생성되고 해서 은하가 탄생합니다. 이런 모습들이 무한 반복이 되면서 우주는 엄청나게 팽창이 됩니다.


블랙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예측된 천체로 별이 폭발할 때 반지름이 슈바르츠실트의 반지름 이하로 극단적인 수축을 일으킬 때 밀도가 매우 증가하여 중력이 굉장히 커진 천체를 말합니다. 이때의 중력을 벗어날 때 필요한 탈출 속력은 빛의 속력보다 커서 빛도 빠져나오지 못한다고 합니다. 반면 우주가 대폭발로 창조될 때 물질이 덩어리로 뭉쳐서 블랙홀이 무수히 생겼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블랙홀은 보이지 않는 구멍이란 뜻입니다. 즉 빛도 빨려 들어가면 보이지 않습니다. 그 이후에는 알지 못하겠지만 과학자들의 보고로 인하면 빅뱅설에 의거 블랙홀 안에 특이점이 있어서 빨려 들어오는 모든 것을 원자화 시켜 특이점에 보존한다고 합니다. 이는 블랙홀이 소멸되었다가 다시 특이점에서 시작하게 되는 겁니다. 왕복 우주선 발명가 같은 직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금 우주왕복선을 개발하지는 않지만 아틀란티스호 전에는 기술자들이 연구해서 우주왕복선을 만든 겁니다. 우주왕복선을 만든 목적, 우주여행을 하려면은 엄청난 비용이 필요한데 암스트롱이 타고 갔던 새턴 5호 같은 우주선을 항상 준비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이착륙식 우주 왕복선을 만들게 됩니다. 이는 100번 정도 재사용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우주왕복선이 은퇴한 이유, 컬럼비아호 때문입니다. 추운 날씨에 빨리 우주선을 발사 시켜야 하지만 우주인들은 감기에 걸리면 안 되기 때문에 우주선 발사를 미뤘습니다. 그리하여 미루고 미뤄 발사를 하지만 부스터 부분에 고드름이 끼여 30초쯤 지나 공중에서 폭발하고 맙니다. 그리고 아틀란티스 호를 끝으로 우주왕복선은 사라지게 됩니다. 우주왕복선을 대신할 탈것들, 우리가 미래가 되면 달, 화성 등을 있는 우주 엘리베이터가 건설될 것입니다. 대기권을 뚫고 달이나 화성으로 갈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말하고 핵 펄스 로켓이라는 로켓이 있습니다. 이는 핵탄두를 이용해서 대기권을 뚫고 나가는 형식입니다. 이 외에 여러 가지 우주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민간인도 우주비행사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여자 우주비행사인 이소연 박사도 사실은 민간인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우주에 갈 민간인을 모집한다고 해서 5만 명이 모였었습니다. 그래서 그 많은 경쟁자를 뚫고 이소연 박사가 합격을 한 것입니다. 그 이후로 우주에 가기 위한 훈련을 받고 우주로 가게 됩니다.

Comments